“포항시도 경주시처럼 지진 대응 매뉴얼 만들라”
상태바
“포항시도 경주시처럼 지진 대응 매뉴얼 만들라”
  • 김종서 취재국장
  • 승인 2016.09.30 2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종서 취재국장

지난달 12일 발생한 5.8의 강진(强震)으로 인한 경주·포항·영천 지역 피해액이 102억4천600만원으로 잠정집계됐다.

중앙재해합동조사단이 21~23일 피해규모를 파악한 결과 경북지역에서 5천250건 102억4천600만원의 피해가 난 것으로 추계(推計)됐다.

사유시설(주택)은 5천46건에 35억2천만원, 공공시설은 204건에 67억2천600만원의 재산상 피해가 발생했다.

경주의 사유시설과 공공시설의 피해가 92억8천700만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9·12지진의 최대피해 지역 경주시는 신속한 복구와 민심의 안정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지난달 26일 밝혔다.

경주시는 피해를 가장 많이 입은 황남동을 시작으로 월성동·용강동 일대를 방문해 주민들을 격려하고 트라우마 지원과 지진대피 강연을 실시했다.

경주 일대에서 지난 12일 5.8규모의 첫 지진이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모두 440차례의 여진(餘震)이 발생했다.

위아래로 미세한 흔들림에도 크게 놀라는 경주시민들은 정신과 치료를 받거나 신경안정제·수면제를 사기위해 약국을 찾는 사례가 급증했다.

경주시내 약국 관계자는 “청심환이 평소보다 5~10배 더 많이 나갔다”고 전했다.

커지는 지진 불안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경주 지진 진앙지 부근 주민들은 휴대폰을 지니고 잠을 청한다는 불안감을 토로했다.

실제로 공포에 질린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관광업으로 먹고 사는 경주상인들은 ‘지진도시’로 낙인찍혀 생계에 타격을 입을 것을 더 두려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학여행과 골프관광 성수기인 가을의 초입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손님받기는 틀렸다”는 ‘지진후유증’을 토로했다.

상인들은 “파손된 건물이야 보수하면 되지만 ‘지진지역’이라는 오명을 쉽게 씻을 수 없을 것 같다”고 하소연 한다.

지진불안·후유증을 해소하고 경주관광업을 살리는 길은 체계적 대비와 발빠른 대응이다.

특히 경주 상인들은 “진앙지 인근 마을의 피해중심으로 언론에 보도되는 탓에 경주 전체가 아수라장이 된 것처럼 보였다”고 걱정이 태산이다.

경주 상인들의 ‘지진도시’ 낙인 걱정을 부채질하는 것은 여진현상이다.

규모별로는 1.5이상~3.0미만 421회, 3.0이상~4.0미만 14회, 4.0이상~5.0미만 2회이다.

이번 여진 횟수는 2011년 3월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후 국내에서 지진이 가장 자주 발생했던 2013년(당시 93회) 기록의 4배를 훌쩍 넘어서는 수치다.

또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총 지진횟수인 396회를 뛰어 넘는다.

기상청은 여진이 끝나는 시점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향후 수주에서 수개월간 여진이 지속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기상청은 지난달 26일 기상청 홈페이지를 통해 “40여시간째 추가 여진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기상청은 “실제로 한동안 규모 1.5이상의 여진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맞지만 1.5이하의 미소지진은 계속 발생하는 상황이다”며 “여진이 끝났다고 단정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지질학 교수들도 “여진의 강도가 약해지고 주기도 점차 길어지고 있지만 여진이 언제 끝날지 확신할 수 없어서 대비는 계속해야 한다”고 했다.

기상청 관계자도 “여진이 점차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다”며 “그러나 추가 여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 계속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진앙지 경주시의 대응도 발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경주시는 지진 대처법을 잘 몰라 불안해하는 시민들을 위해 ‘지진 시민대응 요령’을 배부키로 했다.

일본 도쿄방재 지진대응 매뉴얼을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팸플릿으로 만든 대응요령의 주요내용으로는 우선 리히터규모 진도 4.5를 기준으로 4.5 미만일 경우에는 재난방송을 청취하고 비상용품을 점검하는 등 대피준비를 하고, 4.5 이상일 경우에는 평소 준비한 비상용품을 지참하고 신속히 가까운 학교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터로 대비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비상용품은 바로 먹을 수 있는 비상식량, 생수, 의료·담요·보온시트 등 체온유지용품, 호루라기·플래시·나이프·라디오 등 구조용품, 구급약, 기타 간이 취사용구 등으로 준비한다.

경주시 재난안전 관계자는 “지진은 불시에 발생하는 관계로 사전예측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해 지진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행동요령 숙지를 재삼 당부했다.

한편 경주시는 지진 발생시 읍면동별로 대피할 수 있는 공원, 운동장, 공터 등 대피소 158개소를 지정해, 현장지원활동요원 1038명을 배치키로 했다.

국민안전처도 9페이지 분량의 ‘지진발생시 10가지 행동요령’을 제시했다.

해당요령에는 ‘테이블 밑에 들어가서 몸을 보호하라’·‘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마라’와 같은 대처법이 실내와 실외, 백화점이나 지하상가 등 몇몇 장소를 가정해 소개돼 있다.

반면 일본지진대피 매뉴얼 ‘도쿄방재’는 320페이지에 걸쳐 위치와 상황에 따라 상세한 대피요령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수많은 지진경험을 바탕으로 행동요령을 상황에 따라 구체화 시켰으나 한국의 대처요령은 경험의 노하우가 없어 개괄적 기술에 그치고 있다.

경주지진 경험을 바탕으로 개별건물단위, 엘리베이터, 고속도로, 긴 터널 등 우리나라 상황에 따른 지진대처 행동·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

일본의 대표적 지진전문가 가사하라 준조 교수(도쿄대)는 “앞으로 3~4개월 전후해 경주지진이 발행한 진원지의 동쪽에서 이번 지진보다 더 강력한 지진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지난달 26일 서울에서 가진 언론 인터뷰에서 “한국은 더 이상 지진안전국가가 아니다. 추가적인 강진에 대비할 방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가사하라 교수의 주장에 대해 “강진 가능성은 작아보이지만 지질조사를 해보지 않고는 어떤 주장도 검증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지진 경보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현실적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국민안전처의 지질대응 매뉴얼은 “매뉴얼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내용이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역별·시설별로 구체적인 지진대응매뉴얼을 만들고 일반시민이 참여하는 훈련을 정기적으로 해야한다”고 강조한다.

포항시도 경주시처럼 지진대응매뉴얼을 만들고 대피 장소도 지정하는 등 대책 수립에 나서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