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사망 원인 4위… “방심하면 수명 단축”
상태바
폐렴 사망 원인 4위… “방심하면 수명 단축”
  • 허정욱 건강증진의원장
  • 승인 2017.06.11 00: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정욱 건강증진의원장

폐렴은 이미 멸종돼버린 가난한 지식인의 병처럼 여겨져 왔다.

아마 이상, 백석 등 근현대사의 인문학을 풍요롭게 했던 이들이 앓았던 병이기에 그런 이미지가 남았을 터.

그러나 실상은 현대인의 수명을 갉아먹는 무서운 질병이다. 한국인의 사망 원인 4위에 이르는 폐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폐렴, 가벼운 병인가? 심각한 병인가?

폐렴은 며칠 동안 약을 먹으면 쉽게 낫는, 대수롭지 않은 병으로 여겨지기도 하고, 반면에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매우 무서운 병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실제로 폐렴은 정도에 따라 쉽게 치료될 수도 있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질환이다.

병의 경중과 어디서 치료받는지, 면역상태가 어떤지에 따라 치료 방법이나 예후가 다르기 때문이다.

우선 폐렴의 경중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나이, 의식상태, 호흡상태와 활력, 징후, 혈액에서 나타나는 몸의 염증 반응과 장기의 기능 등을 파악해 이에 따라 얼마나 중한지 결정하게 된다.

비교적 젊고, 호흡기가 안정돼 있고, 의식이 명료하고, 몸의 염증 반응이 심하지 않으면 예후가 좋은 폐렴이라 굳이 입원하지 않고 항생제를 복용해도 나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이런 경우에도 나중에 증상이 악화되면 입원해서 치료를 받아야 할 수 있다.

반면 나이가 많거나, 호흡기나 다른 장기에 이상 신호가 보이는 경우는 입원해서 정맥주사로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그중에서도 중증 폐렴은 호흡이나 다른 장기의 기능이 불안정한 경우로 중환자실에 입원해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호흡이 유지되지 않으면 기계호흡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 사망률도 꽤 높아진다.

이렇듯 같은 폐렴이라고 해도 정도에 따라 치료방법과 예후가 다르므로 폐렴에 걸렸다는 말만으로는 쉽게 판단할 수 없고, 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고령자들이 늘어나고 면역저하상태에 있는 환자들도 많아지면서 폐렴에 의한 사망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 중 4위를 차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폐렴 환자들은 앞으로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 폐렴의 치료와 예방이 점점 중요한 문제가고 되고 있다.


■X선 진단 가능하지만 때로 CT 검사도 실시

폐렴은 증상과 검사소견으로 진단하는데 일반적으로 기침, 가래, 발열 증상이 있고, 흉부 X선 검사에서 폐의 염증이 증명되면 진단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폐렴처럼 나타나도 검사 결과 독감이나 기관지염인 경우도 있고, 폐렴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다가 나중에 결핵이나 간질성 폐렴으로 진단이 바뀌는 경우도 있다.

드물게는 폐렴으로 의심됐으나 폐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X선 검사만으로 폐렴을 진단하고 치료하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CT 검사나 기관지 내시경이 필요하다.

폐렴으로 진단되고 나면 그 원인을 묻는 환자들이 많다.

폐렴은 대부분 세균 감염에 의해서 생긴다.

가장 흔한 원인균이 폐렴구균이지만 여러 가지 다양한 균들이 폐렴을 일으킬 수 있다.

바이러스와 진균에 의해서 폐렴이 생길 수 있고, 면역 상태에 따라서 다른 미생물에 의해서도 폐렴에 걸릴 수 있다.

같은 세균이라도 항생제 감수성이 다를 수 있는데 최근에 항생제를 사용했거나 스테로이드를 사용했거나 만성 폐질환이 있는 경우 내성균에 의한 폐렴에 걸릴 가능성이 높으므로 항생제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

폐렴이 어디에서 걸렸는지도 중요한데,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폐렴이 생긴 경우는 특히 내성균에 의한 폐렴이 가능성이 높아서 처음부터 광범위 항생제로 치료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고 있거나 면역상태가 떨어져 있는 경우, 또는 기관지확장증 같이 폐에 구조적 이상이 발생한 경우도 항생제 내성을 가진 폐렴구균이나 녹농균 같은 세균에 의한 폐렴일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항생제를 선택해야 할 수 있다.
 

■경구 항생제 치료부터 장기 기능 유지까지 다양한 치료 필요

폐렴의 치료도 경중에 따라 달라지는데 증상이 심하지 않고 전신상태가 안정돼 있으면 입원하지 않고, 경구 항생제를 복용한다.

비교적 심한 경우는 입원해서 정맥주사로 항생제를 투여해 치료한다.

대개는 원인균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보편적인 원인균에 대한 치료를 한다.

치료 경과가 좋으면 경구 항생제로 바꾸어 총 7~10일 정도 사용하면 완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항생제를 사용해서 열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타진한다.

드문 원인균이나 내성균, 약에 의한 부작용, 다른 장기의 감염, 또는 감염병이 아니라 다른 폐질환인 경우 등을 고려해야 한다.

중증 폐렴은 중환자실에 입원해 치료하게 되는데, 이때 장기 기능이 잘 유지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폐렴으로 패혈증이 발생했을 때 장기 기능이 유지되지 않으면 회복에 앞서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호흡기능이 떨어지면 기계 호흡을 하거나 신장기능이 감소하면 투석을 병행하는 등 항생제 이외에 여러 가지 치료를 병행한다.

독감이나 메르스 등의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은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다.

이는 전염력이 높으므로 격리해 치료해야 하고 호흡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여부를 잘 살펴야 한다.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 진균에 의한 폐렴일 가능성이 높다.

기관지 내시경이나 폐조직검사를 해야 진단되는 경우가 많으며, 진단되면 항진균제를 사용한다.


■폐렴 백신뿐 아니라 독감·감기 예방 중요해

현재 폐렴 예방 백신은 폐렴구균 중에서도 보편적인 종류의 세균에 대한 면역을 갖게 해준다.
특히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은 폐렴 예방주사를 꼭 맞아야 하는데, 이때 단백접합 폐렴 백신을 먼저 맞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폐렴구균 이외의 세균에 대해서는 아직 백신이 없다.

독감 백신은 매년 맞는 것이 좋다.

독감 예방주사가 폐렴을 직접 예방하는 것은 아니지만, 독감이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평소 감기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도 2차 폐렴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기침을 할 때에는 입을 가리는 기침 예절을 꼭 지키고, 평소 손을 잘 씻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대부분 누워서 지내는 환자들은 반듯이 누워있는 것보다는 상체를 일으켜 지내는 것이 폐렴 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삼킴 장애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재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증상만으로는 감기, 독감, 기관지염과 폐렴이 구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침 가래 증상이 있으면서 발열이 지속되거나 호흡곤란, 흉통 등을 동반하는 경우 흉부 X선 검사를 실시한다.

▲검진문의
경북지부(대구북구검진센터)
  053-350-9000, http://gb.kahp.or.kr
대구지부(대구동구검진센터)
  053-757-0500, http://daegu.kahp.or.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