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씹을수록 뇌 노화 방지 치매위험 줄인다
상태바
잘 씹을수록 뇌 노화 방지 치매위험 줄인다
  • 김태영 기자
  • 승인 2018.10.19 0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씹는힘과 전신 건강의 관계’ 에 대해서 알아본다

   치아 1~9개 노인, 20개 이상 노인보다 치매확률 81%↑
   음식 씹을때 나오는 귀밑샘 호르몬 뇌 혈액순환 좋게해
   씹는 힘 떨어지면 혈당 조절↓ 당뇨병 발병율 2배 높아
   치아 금 가거나 시큰거리면 레진·크라운 치료 예방해야

씹는 힘이 강할수록 뇌로 가는 혈류량과 타액 분비가 늘어 치매를 비롯한 전신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치아가 없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턱을 움직이면 뇌로 가는 혈류가 늘고,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산소가 공급되기 때문이다.

◇씹을수록 뇌 혈류량 증가
실제 일본 규슈대 연구팀이 5년간(2007~2012년) 60세 이상 노인 1566명의 치아 상태와 치매와의 관련성을 조사했더니, 치아가 1~9개 있는 노인은 치아가 20개 이상 있는 노인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81% 높았다.

부족한 치아로 인해 씹는 활동이 원활하지 않은 것을 원인으로 보인다.

반대로, 무언가를 씹을 경우 뇌 건강이 좋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영국 카디프대학에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껌을 씹으면서 과제를 수행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숫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을 씹으면 귀밑샘에서 파로틴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파로틴은 혈관의 신축성을 높이고 백혈구 기능을 활성화해 뇌의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또한, NGF(신경성장인자)라는 물질도 분비된다.

이 물질은 신경세포의 수복을 촉진하고 뇌신경의 기능을 회복시켜 뇌가 노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치아가 없어 제대로 씹지 못하면 타액 분비량이 줄고, 그 결과 NGF가 줄어 뇌가 노화된다.

유럽에서는 ‘알츠하이머로 치매를 앓는 사람의 뇌에 NGF를 직접 투여한 결과 인식능력이 개선됐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잘 씹어 타액을 많이 분비시키면 뇌가 노화되는 것을 막아 치매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말이다.

◇노화·혈관질환·당뇨병과도 관련
치아에 문제가 생겨서 제대로 씹지 못하면 침뿐 아니라 활성산소를 없애는 역할을 하는 ‘페록시다아제’ 효소도 잘 나오지 않는다.

이로 인해 노화와 관련된 물질인 활성 산소가 몸속에 많아지면 노화가 촉진된다. 치아가 건강하지 않은 노인일수록 빨리 늙는다는 덴마크 연구가 있다.

씹는 힘이 떨어지면 당뇨병 위험도 커진다. 이가 아파서 음식물을 충분히 씹지 못해, 소화가 잘 안 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영양분 흡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혈당 조절이 어려워진다.

미국 콜롬비아대 의대 연구팀이 당뇨병이 없던 일반인 9296명을 17년 동안 추적 조사했더니 치주질환이 생긴 사람들에게서 당뇨병이 2배로 많이 발병했다.

당뇨병 환자가 잇몸질환이 있으면 상처가 잘 안 아물고 회복이 더뎌져 당뇨합병증 위험은 4배, 혈당관리가 잘 안 될 가능성은 6배 높아진다는 미국 텍사스대 연구결과도 있다. 씹는 힘이 떨어지면, 입속 세균의 번식도 늘어난다.

세균 번식을 예방하는 침의 분비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잇몸병 위험도 커지는데, 입속 세균은 혈관건강에도 영향을 준다. 입속 세균은 말초혈관을 타고 몸속으로 들어가 혈류를 따라 온몸을 돌아다닌다.

심장이나 뇌에 들어가면 혈관벽이 손상돼 염증이 생긴다. 또한 혈전(핏덩이)까지 만들어 혈관을 좁힐 수 있다.

심장병이나 뇌졸중이 생길 수 있다. 입속 세균과 플라그가 잇몸을 파괴하면 ‘TGF-베타’ 같은 염증 물질이 만들어지는데, 심혈관질환자에게도 이런 물질이 발견된다.

치주염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동맥경화, 뇌졸중, 심장병 같은 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2~3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시린이 없애고 치아 메워라
시린 이는 치아의 가장 바깥 조직인 법랑질이 벗겨져서 상아질이 노출돼 외부 자극을 그대로 느끼는 상태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질산칼륨이 들어 있는 시린 이 전용 치약을 쓰면 좋다.

상아질 표면의 칼륨 이온 농도를 증가시켜 외부 자극에 대한 통증이 나타나지 않거나 전달되지 않도록 해준다.

치약 쓸 때만 괜찮고 계속 시리다면 상아질을 폐쇄하는 방법도 있다. 상아질에 치과용 접착제를 발라서 보호막을 형성하고, 접착성 치과 재료인 ‘레진’ 등으로 덮어 씌워서 보호 효과가 오래 가게 만드는 것이다.

치아에 금이 가서 씹을 때마다 시큰거리고 불편하다면 치과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아 안쪽의 상아질까지 금이 갔다면 금 간 부분을 깨끗이 정리하고 레진으로 메워야 한다.

이후 또 금이 가지 않도록 크라운(금속이나 도자기 재질로 이 전체를 씌우는 것) 치료를 하는 게 좋다.

상아질을 지나 치수까지 금이 갔다면 신경 치료가 필요하다.

신경관을 소독·밀폐해서 입속 세균이 균열선을 따라 몸속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고, 크라운 치료를 해야 한다.

치아가 완전히 쪼개져서 한쪽이 들썩거릴 정도라면 이를 뽑아야 한다.

치아 뿌리 속의 세균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고, 따라서 통증도 완전히 없앨 수 없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