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만항 기능강화·영일만 대교 건설 등 북방경협 활성화 위해 인프라 확충 시급
상태바
영일만항 기능강화·영일만 대교 건설 등 북방경협 활성화 위해 인프라 확충 시급
  • 김태영 기자
  • 승인 2018.11.10 1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항만 인프라 부족 제기능 못해
   지역서도 부산으로 발길돌려
   동해중부선 고속도로 확충시급

   영일만 대교 국정과제 제외
   용역비 편성불구 사업추진 차질

영일만대교 조감도

포항시에서 역사적인 제1회 한·러 지방협력포럼이 개최돼 포항시가 북방경협 중심도시로 떠오름에 따라 영일만항 확충과 영일만횡단대교 건설 등 지역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포항시는 한국과 러시아 정상의 합의로 한·러 지방협력포럼을 개최해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과 푸틴 러시아 대 통령의 신동방정책이 만나는 역사적인 장소로 역사에 남게 된다.

따라서 포항시는 한국의 북방 경협 시발점이자 중심도시로서의 위상을 갖게 돼 한국 북방경협의 전초기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포항시의 위상에 걸맞게 북방경협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인프라도 조기에 구축해야 한다는 여론이 대두 되고 있다.

우선, 정부가 북방물류거점 항만으로 개발한 영일만항의 기능 강화가 무엇보다 절실하다.

북방경협의 전초기지가 될 영일만항은 현재 6선석을 16선석으로 확장해 명실상부한 컨테이너 무역항의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크루즈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크루즈 항만과 해경부두도 조기에 완공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우선 정부가 북방물류거점항만으로 개발한 영일만항의 기능 강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2009년 8월 컨테이너부두 4선석으로 문을 연 영일만항은 현재 러시아·중국·일본·동남아 등 7개국 25개국 항만에 컨테이너 항로를 운영하고 있다.

개장 9년만인 올해 누적 물동량 100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달성하는데 그치는 등 여전히 항만인프라 등의 부족으로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지 못하다 보니 대구·경북지역 화물마저 거리가 먼 부산항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영일만항 배후단지활성화와 인입철도건설, 영일만대교 등 연결도로망 건설 등도 앞당겨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5만t급 국제여객선이 접안할 수 있는 여객부두의 조기건설도 필요하다.

국제여객항이 되면 러시아 극동지역 관광자원과 울릉도와 독도의 해양관광자원, 경주의 신라문화, 안동의 유교문화, 대구의 섬유패션 등 경북 내륙 관광자원을 연계하는 한·러간 관광물류 관문으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외교는 러시아 극동지역뿐만 아니라 중국 동북3성, 북한 나진, 선봉, 청진항간 교류를 확대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북방교류 활성화를 위해 동해중부선철도와 동해안고속도로 등 도로망 확충도 필요하다. 

동해안고속도로는 포항~울산간 고속도로가 개통한데 이어 현재 포항~영덕간 구간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두 구간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영일만대교 건설이 조속히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영일만대교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과 북구 흥해읍을 연결하는 해상교량이다.

총사업비 1조8천55억원이 투입돼 총 길이 17.1㎞ 해저터널 5.4㎞, 교량 3.6㎞, 접속도로 8.1㎞로 이뤄진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영일만대교의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을 위해 20억 원의 예산을 편성, 사업추진 의사를 드러냈지만 이번 국정과제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사업추진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에서 열리는 한·러포럼은 러시아를 시작으로 중국, 북한간의 남북교류 시대를 여는 출발점으로 지리적으로나, 각종 인프라까지 구축하고 있는 포항이 그 중심에 있다”며 “향후 북방외교를 위해 지역 SOC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