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 안희정’ 먼저 박정희 대통령 묘소 참배하라”
상태바
“‘친노 안희정’ 먼저 박정희 대통령 묘소 참배하라”
  • 유수원<편집인>
  • 승인 2013.11.15 2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좌파는 자신의 목적달성을 위해 법과 원칙은 물론 정신과 체면까지 내팽개치고 싸운다고 한다. 진영의 이익을 위해 위장(僞裝)·거짓투항도 서슴지 않는 악바리 근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파는 법과 원칙, 금도(襟度)를 내세워 조금이라도 비난받을 일에는 옳다고 생각해도 나서지 않는 웰빙체질이 있다고 한다.

우파들은 진영논리에 기대어 무임승차를 즐기는 얌체족 기질이 있다.

좌파의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인가. 좌파 광역 단체장 박원순 서울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가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를 내고 있다.

박원순은 극좌단체 민족문제연구소와 참여연대를 만든 ‘좌파진영의 제갈량’이다. 안희정은 노무현 대통령 만들기 1등 공신이자 주사파였다.

박원순은 지난 3일 종편 시사프로그램에 출연, “국가안보도 인권만큼 중요해졌다”며 국보법폐지론자였던 자신의 생각이 바뀌고 있다는 점을 내비쳤다.

“‘죽은 오세훈(전 시장)’이 ‘산 박원순(현 시장)’을 이긴다”는 가상대결 여론조사 결과가 공개된 탓일까.

“서울 광장에서 ‘김일성 만세’를 부르는 사상의 자유가 허용되어야 한다”·“북한의 인권문제는 체험해보지 않아서 비판할 수 있다”고 주장하던 극좌파 대부가 ‘서울시장’이란 ‘권력덩어리’를 품어서 맛본 ‘권력꿀맛’을 놓치기 싫은 속내를 드러냈다.

50대 이상 우파진영의 유권자분포가 증가하는 ‘고령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작전상 후퇴’를 감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박원순이 우파로 전향을 단행할까”란 의문에는 ‘긍정’이 가질 않는다.

충남도지사 안희정은 지난 13일 출간된 그의 저서 ‘산다는 것은 끊임없는 시작입니다’에서 박정희 전대통령 등 전직 대통령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했다.

“박 전대통령 1963년·1967년 대선에서 선출되었다는 사실을 역사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중국 등소평이 공칠과삼(功七過三)이란 기준을 제시하며 모택동을 평가했음을 강조했다.

안희정은 박정희 전대통령을 공칠과삼(功七過三)으로 평가하는 주장을 우회적으로 제시했다.

지사직 재선도전의사를 밝힌 이후 책이 출간되어 중도·보수층 끌어안기 위한 것이 아닌가 하는 관측이 제기됐다.

안희정 지사는 ‘공칠과삼’ 주장의 진정성을 강조하려면 이승만·박정희 대통령 묘소 참배를 단행해야 한다.

1981년 중국 공산당은 중앙위원회 전체회의를 열어 ‘역사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당시 중국은 모택동이 저지른 10년 문화대혁명으로 나라 안은 갈가리 찢겼고, 민생고 해결이 ‘발등의 불’이 되었다.

실권자 등소평은 “모택동 동지의 공과(功過)에 대해 적절하게 평가해야 한다”며 ‘공칠과삼(功七過三)’을 제시했다.

등소평은 모택동의 공(功)과 과(過)를 분명히 구분해 극좌노선을 극복하고 오늘의 중국을 경제제일주의의 길로 이끌었다.

등소평은 모택동의 공과를 분리하여 과거사를 해결해 ‘화해와 타협’을 가져오는 표준을 제시했다.

‘친노의 핵심’ 안희정이 우파에게 화해의 손짓을 한 셈이다.

최근 호남의 경제학 교수는 “고속도로를 경부축에만 깔았고, 호남지역에 근대산업을 건설하지 않았던 ‘경제적 지역 차별’이 광주항쟁을 촉발시켰다”고 주장했다.

“우량농지 훼손 불용”이란 팻말을 들고 경부고속도로 착공현장 불도저 앞에 드러누운 사람이 DJ(김대중 전대통령)였다.

“농업을 주력산업으로 만들어 민족경제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웅변했던 사람도 DJ였다.

배운 게 없고 사색도 없어 ‘민주주의’만 입에 달고 다니며 ‘반대를 위한 반대’로 온갖 태클을 거는 정치모리배를 제압한 제도적 장치가 유신헌법이었다는 평가도 있다.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장관내정자 국회인사청문회가 열릴 때마다 호남출신 의원을 주축으로 한 민주당 의원들은 5·16에 대한 인식을 물으며 ‘쿠데타’라는 답변을 사실상 강제하고 있다.

5·16은 헌정질서를 중단시킨 쿠데타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4·19 혁명 이후 매일 수많은 데모가 전국에서 일어나고, 데모대에 의해 국회의사당이 점거되는 혼란 속에 ‘유약한 장면 정권’이 경제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는 발전적 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겠는가.

당시 윤보선 대통령도, 사상계 장준하 발행인도 “올 것이 왔다”고 5·16발발을 수긍했다.

1961년부터 박정희 대통령이 드라이브를 걸은 수출지향형 경제개발정책은 권위주의적 정부에서만 가능한 ‘개발독재’였다.

민주화업자 4만여명이 권력을 분점 못해 거품을 품었지만 “박정희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경제개발정책은 탁월한 선택이었다”는 것이 외국 비교경제학자들의 평가이다.

포항제철(포스코)과 김대중 컨벤션센터를 비교해 보는 우파논객도 있다. “포항제철은 대한민국을 먹여 살리는 박정희 기념관이고 김대중 컨벤션센터는 국민세금을 축내는 용공·친북의 기념물이다”는 극단적 대조도 있다.

이제 과거사 평가에서 진실성을 되찾아야 한다.

6·25전쟁이 국제공산주의세력의 남침에 맞서 대한민국이 미국의 도움을 받아 자유체제를 방위한 전쟁이었다고 가르쳐야 한다.

좌파 역사교과서는 “6·25전쟁은 동족상잔의 슬픈 전쟁이었고, 그 후유증으로 반공독재가 강화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김일성의 적화야욕에는 아예 눈을 감았다.

주사파 이력의 친노 핵심 충남지사 안희정이 이승만·박정희 대통령을 공칠과삼(功七過三)으로 치적을 평가한다.

이제 민주당도 DJ묘소만 참배하는 편협성을 버려야한다. ‘반대를 위한 반대’란 정상배(政商輩) 체질을 벗고 대화와 타협이란 격조 있는 정치문화창조에 나서야 한다.

이승만·박정희 전대통령의 유택(幽宅) 방문 용단이 중도파 지지세력 확보의 열쇠가 될 것이다.

유수원<편집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