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이동조 회장 1000억대 수의계약 공사 ‘王차관’에 준 특혜 아닌가
상태바
포스코, 이동조 회장 1000억대 수의계약 공사 ‘王차관’에 준 특혜 아닌가
  • 김종서 취재국장
  • 승인 2014.10.02 15: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종서 취재국장
포스코를 MB 정부 실세 모리배들이 부정축재 도구로 이용하여 최대 경영 위기로 몰아넣었다는 여론이다.

그들을 색출해 왜 사법처리 하지 못하느냐 하는 비난 여론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MB 정부의 실세들에 의해 세계 초일류 철강 기업으로 성장한 포스코가 최악의 경영 위기를 맞는 꼴이 됐기 때문이다.

게다가 실세들의 후광을 업고 온갖 특혜를 받아 부를 축적해온 공범 역할을 한 수혜자들이 포스코에 아직도 버젓이 기생한다.

오히려 떵떵거리며 건재를 과시하는 이들의 몰염치한 행동에 많은 시민들은 크게 분노하고 있다.

이들은 사실상 실세들의 부정 축재에 편승, 온갖 특혜를 받아 목돈은 실세들에게 주고 잔돈을 얻어먹는 일명 바지 사장 노릇을 한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MB 정부 실세 입김으로 회장이 된 정준양 전 회장 경우 포스코를 최대 경영 위기로 몰아넣은 장본인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상득 전 의원의 보좌관 출신 박영준 전 국무총리실 차관은 막강한 정치적 배경을 업고 정 전 회장을 회장으로 만들어 포스코를 부정 축재의 도구로 이용한 꼴이다.

적자가 누적돼 부도 직전에 놓인 부실기업 40여개를 마구잡이로 인수한 것이 바로 검은 커넥션을 입증한다.

자신을 회장으로 만들어준 MB정부 실세들의 인수·합병, 외압으로 한 짓이 아닌가 의심 된다.

철강 단일화 품목에서 벗어나 업종 다각화란 명분은 시대적으로 이해가 가는 부문이기는 하다.

그러나 기업 인수 과정의 내면을 들어다 보면 충격 그 자체다.

MB 정부의 실세들이 부실기업 인수 작업에 깊이 관여한 흔적들이 역력하고 포스코가 부정 축재 도구가 됐음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박영준 전 차관과 인연이 깊은 대우인터내셔널과 성진지오텍 인수가 그렇다.

천억원대에서 조단위에 달하는 이 회사 인수 작업을 이상득 전 의원의 아들이 주도한 것은 충격이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부실기업 인수·합병 작업으로 천문학적인 소개비를 받아 챙겼다는 사실이다.

문제는 300억원 상당 평가되는 회사를 실제 자산보다 무형의 자산 가치를 더욱 부풀려 1천20억원에 인수하는 황당한 일을 정준양 전 회장이 자행 했다는 사실이다.

막대한 회사 손실을 입힌 정 전 회장은 경영 과실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져야 할 것이다.

상식 이하의 부실기업 인수 배경에는 정치권 실세들의 반 강제적 입김이 작용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포스코 사내 유보자금 등 6조원이 날아갔고, 또 6조원 이상의 빚을 진 중대 사건의 책임을 아무도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묵묵히 일해 온 포스코 현장 직원들과 참신한 일부 간부 직원들은 경영 과실에 너무 화가나 부글부글 끓고 있는 분위기다.

정치권에 휘말려 포스코 경영 위기를 몰고 온 정 전 회장의 무책임한 행위에 심한 배신감은 더욱 심한 분위기다.

권오준 현 회장은 철(鐵) 이외는 모두 다 판다며 정 전 회장이 인수한 부실기업 매각 작업에 밤잠을 설치고 있다.

이중적 손실을 보면서도 부실기업을 매각해야 하는 절대 절명의 위기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4월 28일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정치권 배경을 업고 수혜자에 해당하는 포항의 제이엔테크 이동조 회장의 자택과 사무실 등 4곳을 압수수색 했다.

박영준 준 차관의 자금 창구 역할을 한 것으로 돼 있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검찰 수사 당시 중국으로 달아나 몇 개월간 도피 생활을 했다.

그러나 뒤늦게 검찰에서 별 혐의가 없는 것으로 발표돼 주의 사람들에게 많은 의구심을 남기고 있다.

그런 가운데 포스코에 있는 이 회장 회사 매출은 2007년 27억원에서 2010년 226억원으로 크게 불어나 박영준 전 차관의 배경 때문이 아니냐 하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역민들과 사회단체는 “박영준이 MB정부의 실세로 급부상한 뒤 3년만에 이회장의 매출이 무려 8배 이상 급증한 것은 포스코가 왕차관과 호형호제하는 이동조 회장에게 계약을 몰아 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포스코 용광로 부산물을 처리하는 친환경 슬래그 파쇄처리설비(BSSF)기술력 특허권을 중국 업체로부터 가져와 1천억원대의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이 회장이 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 계약은 특혜 중의 특혜라는 의혹이 제기돼 사법기관의 진상 조사가 요구된다.

포스코는 이 기술력을 가져 오기 위해 수년간 노력하고도 도입하지 못했는데 어느날 갑자기 이 회장이 특허권을 가져 왔다고 밝힌 자체가 특혜를 준 허점으로 부각된다.

전문가들은 “포스코가 못가져 온 중국 특허 기술력을 중국통도 아닌 이동조 회장이 가져왔다는 자체가 정 전 회장이 회장된 사은 답례로 박영준 전 차관에게 특혜를 주기 위한 자작극을 벌인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고, 이 회장은 사실상 바지 사장이 아닌가 싶다”며 “이동조 회장이 시진핑 사촌쯤 된다면 믿을 수 있겠지만 포스코가 못 가져온 기술력을 이 회장이 가져 왔다는 자체가 아리송하다”며 수사하여 그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꼬집었다.

정준양 전 회장은 어느 날 전체 간부 회의석상에서 포스코가 못 가져온 기술력을 중국에서 가져온 사례를 소개하면서 이 회장을 높이 평가한 자체가 포스코 자존심을 스스로 짓밟는 행위를 하면서까지 특혜를 주는데 집착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정준양 전 회장의 사업다각화는 결국 최대의 경영 위기를 자초했고, 또 포스코가 정치판 모리배들의 ‘부정축재’의 도구가 되었다는 사실은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다.

포스코에는 정치권 모리배들의 경영 개입이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된다.

아직도 정치권 배경을 업고 부당하게 특혜를 받고 있는 수혜자에 대한 진상 조사를 사법기관이 해야 할 것이다.

포스코는 국민기업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