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위주의 언론’의 민주화가 당면과제이다
상태바
‘권위주의 언론’의 민주화가 당면과제이다
  • 유수원<편집인>
  • 승인 2015.01.23 23: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주류언론, 조중동(조선·중앙·동아일보)의 위력을 상징하는 시쳇말이 있었다.

‘언론은 못난 대통령을 잘난 지도자로 만들기도 하고, 잘난 지도자를 바보로 만드는 파워를 가졌다.’

전설처럼 전해지는 ‘언론 파워’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을까.

조선·중앙·동아일보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김기춘 비서실장·문고리 3인방을 잘라라”라며 3개월째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권위주의 정권시절에는 민주화가 되면 언론이 활기를 되찾아 정론직필(正論直筆)로 ‘사회의 목탁’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권위주의 정치’가 퇴장한 자리에 ‘권위주의 언론’이 자리잡아 ‘찌라시’를 앞세워 ‘국정농단’을 주도하면서 대통령의 인사권까지 ‘수렴청정(垂簾聽政)’하려는 등 ‘신문·종편 독재’를 시도하고 있다.

‘권위주의 언론’이 박근혜 대통령을 질타하는 근거로 ‘약방의 감초’처럼 여론과 소통을 내세운다.

팩트 확인을 생략하고 ‘찌라시’를 태산같이 믿고 전개한 ‘오보(誤報)공세’를 자성하지 않는 ‘권위주의 언론’이 직면한 당면과제가 ‘인적쇄신’이다.

인적쇄신·환골탈태를 ‘남의 일’처럼 간주하는 오만을 깨부수는 것이 ‘댓글 언론’이다.

‘권위주의 언론’을 ‘민주화’시키려는 댓글 언론은 비평의 수준·안목이 앵벌이식 평론가들의 선동, 국가와 국민을 이간(離間)시키는 곡필(曲筆)을 압도한다.

곡필은 ‘국민의 얼을 죽이고, 올곧은 비판의식은 훼손시키고, 사회정의를 먹칠하는 악(惡)’이어서 대표적 불의(不義)로 치부되고 있다.

언론이 가장 경계해야 할 곡필이 ‘품격있는 비판’으로 분칠되는 경우가 비일비재(非一非再)한 것은 비극이다.

조선일보 논설주간의 칼럼, 22일자 ‘양상훈 칼럼’은 ‘박근혜 대통령이 대체로 한 일이 뭐냐’ 질문에 “답이 궁할 것이다”고 단정하면서 ‘만기친람을 포기하라’는 쓴소리를 적었다.

또 새누리당 소속 전직 자치단체장의 “최악의 대통령이 될 것 같다”·“이런 정도일 줄 몰랐다”는 악담(惡談)을 원용해 ‘앞날을 꿰뚫어본다’ 식의 폄하폭탄을 퍼부었다.

조선일보 논설실장의 폄하처럼 박근혜 대통령이 2년간 한 게 없는 것일까.

우파논객들은 “대한민국 헌법을 부정하는 ‘주사파 정당’ 통진당을 해산시킨 것은 대한민국 정체성을 재정립 시킨 결단으로 경제성장 1~2% 높이는 것보다 더욱 중요한 치적이다”고 합창한다.

또 “역대정권의 큰 숙제였던 한-중 FTA를 타결시켜 한국의 경제영토를 무한대로 키웠다. 대외무역으로 먹고사는 대한민국이 주요 국가들과 FTA를 잇따라 체결한 것은 중요한 업적이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 21일 국제신용평가사(社)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의 신용·채권 등급을 ‘A’에서 한단계 올려 ‘A+’로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코레일은 박근혜 대통령의 공기업 개혁 지침에 따라 경영정상화에 몰입해 사상 첫 700억원 영업흑자를 달성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한 게 없는 것’이 아니라 ‘한 게 많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이다.

언론의 가장 큰 사명은 사실전달이다.

언론이 정의(正義)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은 1차적으로 의견표명이 아니라 사실 전달이다.

의견표명인 칼럼도 판단제시의 전제가 사실이어야 한다.

지적진화가 계속되는 현대사회에서 언론인보다 더 지적(知的)이고 성찰력 있는 사회구성원이 다수(多數)이다는 관점에서 의견표명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해야 한다.

‘언론의 자유’를 ‘언론인만의 자유’로 오해하는 것은 ‘권위주의 정치’의 아류(亞流)일 뿐이다.

‘양상훈 칼럼’에 “역사상 이렇게 깨끗한 대통령 있었나?”·“이적단체를 해산시키는 등 종북척결에 대한 일만해도 괄목할 성과 아닌가?”하는 댓글들이 달렸다.

‘양상훈 칼럼’의 논지에 동의하지 않는 것은 극우(極右)이기 때문일까.

‘직필(直筆)은 사람이 죽이고, 곡필(曲筆)은 하늘이 죽인다’는 금언(金言)이 있다.

‘직필은 권력이 탄압하지만, 곡필은 하늘이 반드시 응징한다’는 말이다.

공정성 없는 황색언론이 발호하면 독자와 관찰자들의 댓글반박과 역비방이 거세지기 마련이다.

지난 17일자 동아일보는 사설 ‘취임 후 최저 지지율 朴 대통령, ‘3인방’ 언제까지 안고 갈건가’를 게재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긍정 평가하는 의견이 35%로 취임후 최저치를 기록했다’·‘실세비서관들이 국정을 농단하지 않을까 걱정하는 국민이 많아졌다’·‘박 대통령에게 가장 필요한 혁신은 측근 전횡 소지를 없애는 것이다’며 박 대통령이 ‘나의 심부름꾼이다’며 마음 편히 부리는 ‘하인(下人)’의 목을 쳐라고 애걸복걸했다.

‘국정농단 가능성’을 지레짐작하는 ‘놀라운 통찰력’은 안타깝기까지 하다.

‘동아(東亞)야 정신 챙겨라. 언론이 권력행사할 때 이미 언론이 아니다. 언론의 정설은 팩트다. 카더라가 아니다. 사회전반에 걸친 대개혁(大改革)에 정론지로서 돕지는 못할망정 가르치려 들다니 무례하기 짝이 없네. 이제 동아(東亞)도 찌라신가’·‘우리 언론은 이번 기회에 깊이 반성하라. 지금까지 <문고리 3인방>이니 하면서 말을 만들더니 급기야 인사까지 하려드는구나. 대통령이 자기하고 박자가 맞는 사람들을 쓰겠다는데 왜 그걸 막나. 이 사람들이 비리를 저질렀다는 증거도 없다. 안되니 여론조사 들고 나온다’며 ‘권위주의 언론’의 요설(饒舌)을 질타한다.

독자들과 네티즌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식물 대통령 만들기 공작’을 꿰뚫어 보고 있다.

‘사회의 목탁’이기는커녕 공정성 잃은 ‘황색 언론’이 들고 나오는 여론조사는 ‘금과옥조(金科玉條)’가 될까.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취임 6개월 후 지지율은 30%선이었다.

부유세(稅) 징수 등 좌파적 공약이행으로 0% 성장률을 타개하지 못했다.

최근 지지율이 19%선까지 곤두박질쳤으나 무슬림의 파리 테러 이후 40% 선으로 수직상승했다.

테러와 인질극에 대한 적극 대처가 지지율 상승을 견인했다.

올랑드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은 국정수행 능력 때문이라기보다 테러 등 비상상황 발생 등 상황 덕이 큰 것으로 보인다.

2001년 911테러 직후 미국 부시 대통령의 지지율은 92%.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최고 지지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4년이 흘러 첫 번째 임기가 끝날 부렵 40%선. 두 번째 임기가 끝날 무렵 19% 지지율로 역대 대통령 중 사상 최저 지지율을 기록했다.

미국 34대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첫임기 4년 동안 60~70% 지지율을 유지했다.

두 번째 임기 마지막해 지지율은 59%을 기록했다.

아이젠하워는 재임 중 첨예한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국내 문제는 방치하고 평온을 유지해 불만세력을 만들지 않았다.

“아이젠하워는 재임기간 중 골프 밖에 한 것이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박근혜 대통령은 통진당 해산제소 등 ‘좌익과의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공무원 연금개혁·공기업 경영정상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조선일보가 주도하고 다른 언론이 가세한 ‘찌라시 언론 폭동’이 3개월째 돌입한 가운데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35%를 기록한 것은 ‘놀라운 선전(善戰)’이다.

음모론이나 ‘카더라’에 의존하는 저질 3류 소설형 언론과 종편은 박근혜 대통령을 깎아 내리며 자신들의 존재감을 확인하는 ‘찌라시’로 변신중이다.

“그렇게 흔들어도 박 대통령이 요지부동이다”며 당황해 하면서 “문고리 3인방을 내쳐 체면 좀 세워주세요”라며 애걸복걸한다.

‘깨어 있는 국민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을 환영한다”며 “국민의 지지율에 신경 끄시고 아버지 대통령처럼 소신대로 정치하시라”고 성원을 보낸다.

‘아스팔트 우파(右派)’ 국민행동본부는 “선동언론은 국민의 불신으로 이미 여론 선도능력과 자정(自淨)능력을 잃었다. 인적쇄신은 정부나 청와대가 아닌 선동언론부터 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인다.

사설(社說)이 독자들의 신뢰·공감을 모으지 못하는 요설(饒舌)이 되면 독자의 심판을 부르게 된다.

‘권위주의 언론’의 민주화가 선진국 진입의 디딤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별다른 판단이나 분별없이 굳이 들추어내어 구설수에 오르게 하는 비방(誹謗)은 언론의 공신력을 깎아내리는 자충수(自充手)이다.

유수원<편집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