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부패한 정치꾼들로 인해 최대 위기에 빠져 있다
상태바
포스코는 부패한 정치꾼들로 인해 최대 위기에 빠져 있다
  • 김종서 취재국장
  • 승인 2014.06.20 17: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종서 취재국장
집권여당 새누리당이 오는 7월 15일께 전당 대회를 열고 전국에서 총 선거 인단 20여만명(진성 당원)이 참가해 당 대표 등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한다.

당 대표에 출마한 김무성 의원 캠프에 합류하는 포항 출신 정치인들이 적지 않다.

이들이 명심하고 기억해야 할 교훈은 지난 MB정부시절 적폐 쌓았던 ‘영포라인’이다.

포스코가 부패하고 낡은 사고의 정치꾼들 때문에 지금 최대의 위기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지난주 포스코 관련 2개 뉴스에는 명(明)과 암(暗)이 교차되었다.

포스코 관련 밝은 뉴스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철강회사’ 선정 발표에서 7회연속 1위를 차지했다는 것.

세계 최고의 철강전문 분석기관(WSD)은 올해 6월 기준, 전 세계 36개 철강사(社)를 대상으로 생산 규모, 수익성, 기술혁신, 가격결정력 등 세분화 된 23개 항목을 평가한 결과 포스코를 종합 1위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세계 경기 침체와 철강공급 과잉으로 두자리 숫자를 기록하던 영업 이익률이 한자릿수로 떨어졌지만 포스코의 경쟁력은 세계철강업계에서 으뜸간다는 사실이 7년 연속 확인된 셈이다.

그러나 포스코 관련 어두운 뉴스는 신용등급 하락이다.

지난 11일 한기평(한국기업평가)은 포스코의 신용등급을 ‘AAA’ 등급에서 ‘AA’로 한단계 강등한다고 발표했다.

포스코의 신용 등급이 강등된 것은 지난 1994년 ‘AAA’ 등급을 받은 이후 20년만에 처음이다.

한기평에 이어 한국신용평가도 지난 13일 포스코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췄다.

포스코의 신용등급 강등발표일인 11일부터 13일까지의 주가(株價)는 29만4000원에서 28만8000원으로 약 2%하락에 그쳤다.

금융분석가들은 “이번 신용등급 강등으로 금리가 조금 올라 회사채 4.3조원에서 대한 이자부담(연 20억원)이 늘었지만 부정적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다”고 풀이했다.

그러나 채권시장에서는 앞으로 포스코는 물론 포스코 자회사들의 신용등급 강등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기평 등 한국신용평가사들의 포스코의 신용등급 강등 발표를 ‘뒷북평가’라고 평가절하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포스코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신용평가사들의 엄격한 잣대가 확인됨에 따라 회사채 발행 금리가 상승하는 등 자금조달 비용이 커져 재무구조에 큰 부담이 될 공산이 커진 것이다.

세계 최고 경쟁력의 포스코 신용등급 강등은 철강사 전체가 어렵다는 현실을 반증하는 것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부채비율·자본운영률이 최상이지만 영업이익률이 줄어 신용등급이 낮아졌기 때문에 최근 시행하고 있는 구조조정 등이 성공을 거둬 기업경쟁력이 더욱 강화되면 조만간 다시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러한 낙관론은 안이한 발상이라는 사실이 유력 언론의 지적으로 쉽게 드러난다.

지난 17일자 동아일보 사설은 ‘20년만에 떨어진 포스코 신용등급 누구 때문인가’란 제목으로 ‘영포라인’의 적폐를 지적했다.

“포스코가 시장 환경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배경으로 정치권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한 ‘인사리스크’를 빼놓을 수 없다.

포스코는 민영화한 기업이지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선거의 전리품으로 여겼다.

정권 핵심실세들이 포스코 회장 인선에 간여했다. 전임 이명박 정부에서 ‘영포라인’으로 불리는 특정지역 인사들이 포스코 안팎에서 설쳤다.

가용시재금이 부족해 철강원료인 유연탄 살 돈마저 없다는 얘기가 나왔다. 여기에 정치권의 입김 때문에 억지 인수합병을 통해 계열사를 46개로 늘렸으니 국제 경쟁력이 쌓일 리 만무했다.

한국의 유력 언론이 거론하는 ‘영포라인’은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설립한 ‘국민의 기업’ 포스코의 경쟁력을 갉아먹은 ‘부패한 집단’으로 다시 한번 도마에 올랐다.

‘영포라인’의 실세는 ‘왕차관’ 박영준이었고 박영준의 배후는 ‘만사형통’ 이상득 전의원이었다.

2009년 정준양 회장 취임 이후 ‘영포라인’이 경영에 간여해 ‘잃어버린 5년’을 기록했다.

정 회장 재임기간 중에 수익성·재무구조·신용등급 등 어느 것 하나 좋아진 게 없었다.

2008년 36개에 불과했던 계열사가 70여개로 늘면서 부채비율이 90%선까지 치솟았다.

초우량 국민기업 포스코가 창사 이래 최대위기에 빠졌다는 우려가 제기됐었다.

외국 신평사에 이어 한국 신평가가 신용등급 강등 조치는 그 결정시기가 늦춰진 것에 비추어 ‘뒷북평가’라는 평가절하가 온당하다.

포항 연고 정치권력의 업그레이드에 편승해 호가호위하면서 포스코에서 먹잇감을 찾는 ‘만행’은 근절되어야 한다.

포스코의 신용등급 강등 소식에 포항시가 크게 놀랐다.

포항시는 이번 포스코의 신용등급 강등이 또 다른 수익악화로 이어지지나 않을지 전전긍긍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포스코가 힘들어지면서 매년 지방세가 100억원 이상 줄고 있다”·“포스코의 위축은 포항시의 위축과 직결된다”며 위기감을 표출했다.

포스코가 지난해 납부한 지방세는 252억원, 2012년 357억원, 2011년 511억원보다 각각 100억원, 250억원이 격감했다.

포항시 자족기능인 포스코의 경영에 간여하는 ‘부패한 권력’을 포항 시민들이 감시해야 한다.

또 다른 정치권 실세들은 ‘영포라인’ 같은 이권 개입 논란은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