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화전 설비 교체사업 지원으로 ‘동반자 관계’ 강화해야 포항 경제가 산다”
상태바
“포스코 화전 설비 교체사업 지원으로 ‘동반자 관계’ 강화해야 포항 경제가 산다”
  • 김종서 취재국장
  • 승인 2015.08.22 0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종서 취재국장
포항제철소 화력발전설비 교체 투자사업을 촉구하는 포항시민 10만명 서명운동이 본격화됐다.

포항상의·향토청년회 등 포항지역 경제·사회단체 관계자들이 어깨띠를 두르고 거리로 나선 것이다.

지난 18일부터 죽도시장 개풍약국 앞과 영일대 해수욕장 등지에서 시민들을 상대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 부생 가스와 석탄을 원료로 하는 500mw 규모의 고효율 청정화력발전소 건립을 돕기 위한 단체 행동이다.

포항이 대기환경보전법상 청정연료 대상 지역이어서 법적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지역 경제·사회단체가 환경부에 화력발전시설 관련 규제를 완화해줄 것을 요구하는 청원서명 운동을 벌이는 것이다.

윤광수 포항상의 회장은 “포스코를 살려야 한다”며 “불합리한 규제를 해소하는데 앞장 서 철강 도시 명성을 잃지 않도록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박승대 포항지역발전협의회 회장도 “포항제철소의 화력발전설비투자가 환경 오염 없이 기업을 살리고 지역 경제에도 도움이 된다면 추진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화력발전 설비 교체가 왜 발등의 불이 되었는가”라며 회의론을 제기하는 시민들도 많다.

논란의 심층을 들여다보면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이해할 수 있다.

중국 철강 기술과 수요가 포스코를 따라 잡았고, 경쟁력에서 떨어지는 국내산 철근·후판 등의 피해가 더욱 커질 것은 불을 보듯뻔하다.

포스코의 올해 1분기 철강 수출량이 전년비 증가했지만 수출 금액은 되레 줄어 들었고, 생산 물량의 50%를 수출하고 있는 포스코는 경쟁력을 강화해 저가 중국·일본산의 물량 공세를 극복하는 활로 개척이 ‘발등의 불’이된 것이다.

포스코는 지난 5월 철강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1단계 조치로 “포항제철소내 1조원을 투입해 500mw 규모의 청정화력발전소 건립을 추진한다”고 공식 입장을 밝힌 것도 그 때문이다.

지난해 한국전력에 납부한 수전(受電)비용은 6400억원이고 수전 비율은 무려 54% 수준이다.

수전 비율이 10%선인 외국철강사와 비교가 되지 않는 고 비용 구조이다.

영업 이익 내어 전기료 갚기에 허덕이는 신세가 된 셈이다.

게다가 해마다 한국전력의 전기료는 7% 정도 인상되고 있어 2010년 3천500억원 수준에서 2014년 6400억원으로 전력 단가가 36%나 급등해 포스코의 경쟁력을 갉아먹고 있는 꼴이다.

전력 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청정화력발전소 건립추진 배경인 것이다.

가격이 비싼 가스(LNG) 발전과 달리 석탄은 한번 불을 붙이면 쉽게 꺼지지 않아 발전 단가가 저렴하다.

발전 업계는 석탄발전을 통해 전력 1kw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단가를 62.4원, 액화천연가스(LNG)는 119.6이 든다고 분석한다.

석탄 발전단가가 가스의 절반 수준이지만 석탄을 사용한 발전은 환경 논란의 중심에 서 있긴하다.

그러나 포스코 관계자는 “최신형 화전은 시커먼 연기를 뿜어내는 구형 발전소 시설과는 거리가 멀다”며 “일부 기존 공장을 폐쇄하고 청정 설비를 가동하면 오히려 대기오염 배출량은 물론 현재 보다 환경이 훨씬 개선 될 것이다”고 설명한다.

대기환경보전법의 시행령을 보면 포스코 같은 국가 기간 산업에 대한 예외 규정이 명시되어 있어 포스코 청정화력발전설비 교체 사업 추진에 출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박명재 의원은 본보 기자와 포스코 화력발전소 관련 인터뷰에서 “포항시장과 시의회가 나서 포스코가 제시한 신뢰할 수 있는 방지대책안을 가지고 주민들에게 잘 성명해 동의를 얻는 것이 선결 과제이다”며 “합의가 따르면 법 개정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최근 박의원은 포스코 청정화력발전시설 설비 교체와 관련, 정부에 법완화 조치를 건의하고 나섰다.

포항지역에서 포스코 존재의 중요성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포항시에 납부한 법인 지방소득세는 최고 900억원이 넘었다가 경기 불황에 밀려 점차 낮아져 지난 2014년에는 231억원으로 시의 전체 법인 지방소득세 536억원의 40%를 상회할 정도기 때문이다.

최근 광복 70주년을 맞아 포항제철(포스코의 전신)의 건립 과정이 재 조명되어 관심을 끌었다.

1968년 5월 포항 영일만 한 바닷가에 ‘롬멜 하우스’라는 60평짜리 2층 가 건물이 들어섰다.

창립 요원 34명이 당시 지도자 박정희 대통령과 현장 책임자 박태준 회장의 뜻을 받들어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산업의 쌀’을 생산하는 포항제철을 지은 것이다.

포스코 탄생을 우리는 영일만의 기적으로 평가한다.

신일철(新日鐵) 제자 취급을 받았던 포스코가 일본 도요타 자동차에 강판을 역 납품해 40년만에 일본 철강업을 넘어 세계초일류 기업이 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인구 6만여명의 어촌 도시였던 포항시가 포스코와 함께 인구 52만명의 산업도시로 도약한 포항시는 포스코와 동반 할 수 밖에 없다.

세계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한 포스코가 50년 역사를 눈앞에 두고 최대 철강 불황을 타개할 재 도약의 대책으로 화전설비 증설을 추진하려 하는 것이다.

포항시민들은 물론 정관계 인사들은 힘을 모아 재도약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포스코의 몸부림을 외면하지 말고 끝까지 지원하여 성공시켜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